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 강동구는 가정 내 남은 약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폐의약품 수거함을 각 동주민센터, 보건소 등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강동구 전체 행정동 기준 폐의약품 수거함 설치 가능 지역, 실제 수거함 확인 방법, 그리고 오래된 약의 올바른 처리법까지 안내합니다. 무심코 버린 약이 환경오염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금 내 동네 수거함 위치를 꼭 확인해 보세요.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강동구 폐의약품 관할지역(수거함)

     

    명일동, 고덕동, 상일동, 길동, 둔촌동, 암사동, 성내동, 천호동, 강일동, 상일1동, 상일2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찾는 방법

     

    서울시 스마트서울맵(https://map.seoul.go.kr)에 접속한 뒤, 검색창에 ‘폐의약품’을 입력합니다.
    도시생활지도 테마 중 ‘폐의약품 전용수거함 위치’를 선택하면 강동구 및 인근 지역의 수거함들이 지도에 표시됩니다.
    각 수거함 핀을 클릭하면 상세 주소, 설치기관(예: ○○동주민센터, 강동구보건소 등), 위치 설명이 표시됩니다.
    강동구청 홈페이지 또는 보건소 공지사항에서도 일부 지역에 한해 수거 일정이나 일제 수거 캠페인 일정이 공지되기도 하니 병행 확인을 권장합니다.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남은 약 정리할 땐 이렇게!

     

    - 알약, 캡슐은 포장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수거함에 투입하거나, 개별 포장을 벗겨 비닐봉투에 모아 넣어도 됩니다.
    - 시럽형 약(물약)은 마개를 단단히 닫은 후 약병째 수거함에 넣습니다. 유리병은 별도 분리배출하지 않습니다.
    - 연고, 안약, 패치류 등은 포장을 뜯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며, 외부 설명서나 종이상자는 일반쓰레기로 구분해 처리해야 합니다.
    - 주사기, 인슐린 주입기, 체온계 등은 의료폐기물로 분류되므로 보건소, 병원 등에서 별도로 수거해야 합니다.
    - 폐의약품을 종량제 봉투나 하수구,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리면 수질 오염 및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폐의약품, 약을 아무 데나 버리면 생기는 문제들

     

    - 약물 속 성분은 분해되지 않고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켜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됩니다.
    - 항생제, 호르몬류 약물이 유입될 경우 하천 미생물 생태계를 무너뜨리고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잘못된 보관으로 인한 어린이 복용 사고, 고령자의 중복 복용 사고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환경부와 서울시는 폐의약품을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하고, 지역 수거함을 통해 전문 소각시설에서 안전하게 처리 중입니다.

     

     

    집에 방치된 약, 버릴 타이밍은 지금입니다. 강동구 수거함 위치부터 확인해 안전하게 처리해 보세요.

    약 정리는 분기마다 한 번, 또는 유통기한 경과 시 즉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어린이 및 고령자 가정에서는 특히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